본문 바로가기
법률 팁

네이버 실시간 검색어 없어진 이유

by 달팽이는 작가가 되고 싶지 2021. 7. 24.
728x170

 

네이버 실시간 검색어
네이버 실시간 검색어


네이버 실시간 검색어 서비스가 어느 순간 갑자기 사라졌는데요, 많은 사람들은 그냥 서비스가 없어졌나 보다 생각하기도 하지만 진짜 이유는 따로 있었습니다.


 

1. 네이버 실시간 검색어 서비스


네이버가 명실상부한 국내 1위 포털 플랫폼 서비스 사업자인 것은 누구나 알고있는 사실인데요, 2020년까지는 실시간 검색어 서비스를 제공하며 오늘의 '실검 1위'는 무엇인지 궁금하게 만들었고 실시간 검색어를 통해 시민들로하여금 현재 가장 이슈가 되는 사건을 한눈에 파악하기 쉽도록 하였습니다.

또한 네이버는 2019년 11월경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이용자마다 자신의 관심에 따라 급상승검색어 구성을 달리해서 볼 수 있도록 개선하기도 했습니다. 네이버는 2019년 11월 28일부터는 AI 기반의 검색어 추천 시스템 ‘리요(RIYO:Rank-It-YOurself)’를 도입하였는데 이 시스템은 사람들이 입력하는 검색어와 주제의 카테고리가 어느 정도 연관성이 있는지 분석하여 개인이 설정한 기준에 따라 급상승 검색어 차트에 노출 시키는 기능 입니다. 즉 그 때 그 때 사람들이 관심갖는 이슈를 네이버가 개발한 알고리즘에 의해 쉽게 볼 수 있게 된 것이지요

사람들은 네이버가 제공하는 실시간 검색어, 급상승 검색어가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갖는 이슈 순위라는 믿음을 주었고 어쩌다 실검 1위에 자신과 관련된 내용이 나오는 경우에는 신기해 하면서도 그 사실자체를 즐겼던 적도 있었던 것 같습니다.

어쨌든 네이버의 급상승 검색어 서비스가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았던 것은, 검색어 순위에 나오는 리스트를 통해 다른 사람들이 관심 갖고 있는 일을 빠르게 캐치 할 수 있고, 나도 그 트렌드에 쉽게 대응할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어쩌면 다른 사람들의 시선에 많은 관심을 갖는 사람들의 심리를 절묘하게 파고 들었다고도 할 수 있습니다.

 

 

 

2. 네이버 실시간 검색어 조작 의혹


그런데 네이버는 어느 순간 갑자기 실시간 검색어 서비스를 종료했는데 "풍부한 정보 속에서 능동적으로 나에게 필요한 정보를 소비하고 싶은 커다란 트렌드 변화에 맞춰 오는 25일 실시간 검색어 서비스를 종료하기로 했다"는 것이 네이버측의 설명이었습니다.

사실 네이버의 급상승 검색어 서비스는 그동안 정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는 의혹을 받아와 많은 이들의 의심을 받았습니다. 또한 실시간 검색어를 조작하여 상업적으로도 이용하고 있다는 의혹도 함께 받았습니다.


3. 공정위 조사로 드러난 실시간 검색 노출 조작


그러던 중 공정위는 2017년부터 조사해 착수해, 이용자가 특정 상품을 검색 할 때 네이버 스토어팜(현 스마트스토어)과 네이버페이 등에 등록된 사업자 상품을 화면 상단에 우선적으로 노출시키는 방식을 문제 삼았고, 자사 동영상 플렛폼인 네이버 TV를 타사의 동영상 플렛폼인 아프리카TV 등 보다 우선하여 검색결과에 노출시키는 행위들도 문제가 있다고 보았습니다.

결국 네이버는 2020년 10월경 공정위로부터 쇼핑분야에 대해 265억원, 동영상 분야에 대해 2억의 과징금을 부과 받았는데 이에 대한 공정위의 발표의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공정거래위원회(위원장 조성욱, 이하 ‘공정위’)는 네이버㈜(이하 ‘네이버’)가 쇼핑·동영상 분야 검색 서비스를 운영하면서 검색알고리즘을 인위적으로 조정·변경하여 자사 상품·서비스(스마트스토어 상품, 네이버TV 등)는 검색결과 상단에 올리고 경쟁사는 하단으로 내린 행위에 대해 각각 시정명령과 과징금*을 부과하기로 결정하였다.

* (쇼핑) 약 265억 원, (동영상) 2억 원

이 사건은 네이버가 자신의 검색알고리즘을 조정·변경하여 부당하게 검색결과 노출순위를 조정함으로써 검색결과가 객관적이라고 믿는 소비자를 기만하고 오픈마켓 시장과 동영상 플랫폼 시장의 경쟁을 왜곡한 사건이다.

 

쇼핑 알고리즘 조정 변경 행위
동영상 노출 조정 행위

 

4. 위 사건의 법 위반 내용


1) 노출 순위 왜곡 및 오픈 마켓 시장 경쟁 저해 행위


 ▶ 시장 지배적 지위 남용 행위 중 다른 사업자의 사업 활동 방해 행위(공정 거래법 제3조의2 제1항 제3호, 동 법 시행령 제5조 제3항 제4호)  

▶ 불공정 거래 행위 중 차별 취급 행위 및 부당한 고객 유인 행위
(공정 거래법 제23조 제1항 제1호, 동 법 시행령 제36조 제1항 별표1의2 2. 차별적 취급 및 동 법 제23조 제1항 제3호, 동 법 시행령 제36조 제1항 별표1의2 4. 나. 위계에 의한 고객 유인) 

※ 결과 : 시정명령과 과징금 약 265억원 부과  


2) 노출 순위 왜곡 유발 및 소비자 기만 행위


▶ 불공정 거래 행위 중 부당한 고객 유인 행위 (공정 거래법 제23조 제1항 제3호, 동 법 시행령 제36조 제1항 별표1의2 4. 나. 위계에 의한 고객유인) 

※ 결과 : 시정명령과 과징금 2억원 부과

 

 

5. 실시간 검색어 서비스에 대한 아쉬움


실시간 검색어는 다른 사람들의 관심사를 쉽게 볼 수 있게 해줌으로써 최근 동향을 파악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었습니다. 재난과 관련된 상황도 알려주는 기능을 하여 이용자의 안전대비에 도움을 준 측면 등 많은 장점들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일부 사업자들이 의도적으로 실시간 검색어에 노출 시키기위해 이를 악용하는 사례도 적지 않게 있었다는데, 일단 실시간 검색어에 노출되면 자연히 이용자들의 관심을 받기 때문에 실시간 검색어가 특정 사업자의 입맛에 맞게 조작 될 경우 이용자들은 그 사실을 알지도 못한 채 없던 관심도 생기게 되고, 특정 사업자의 수익으로 귀결되는 폐혜가 생긴 것이지요.

풍문에 의하면 포털 초기 검색순위는 직원들이 일일이 집계하여 순위를 제공했다는 말도있는데 진실인지는 모르겠습니다.

어쨌든 실시간 검색어같은 서비스가 신뢰받기 위해서는 외부의 압력으로부터 자유로워야 하고, 특정 세력에 의해 알고리즘이 조작 되어서는 안되고, 특정 이익집단이 의도적으로 순위를 올리기 위한 작업을 할 경우 그 의도를 파악하여 실시간 검색에 제외 되도록 하는 알고리즘을 구축하는 등 노력이 선결조건이 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예전에 네이트에서 스마트 검색 서비스의 일종인 시맨틱을 내놓았었는데 지금은 그 모습을 볼 수 없어 기본적인 검색기능에 통폐합 된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지금은 그 모습 또는 발전된 모습을 볼 수 없어 아쉽습니다. 한편, 구글의 정교하고 정확도 높은 검색 서비스와 그러한 기술을 기반으로한 검색 플랫폼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보면, 폐혜가 있다고 하여 해당 서비스를 없애거나 단속만 하는 것이 아니라, 정부에서는 폐혜가 발생하지 않도록 제도적인 뒷받침을 해주어 기술 발전이 제대로 자라날 수 있는 토양을 만들어 주는 것이 더 나은 방향이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 해당 글은 글쓴이 개인의 의견이나 정보제공 목적으로 작성된 것으로 구체적인 사안에 대하여는 법률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그리드형

댓글